승보 사찰 순천 송광사에 아껴놓은 3가지 명물이 있는 데 첫째, 비사리 구시 : 국사전 한켠에 놓여있는 '비사리 구시'는 우선 크기가 보는 이를 압도한다. 1724년 남원 세전골에 있었던 큰 싸리나무가 쓰러지자 이것을 가공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송광사 대준의 밥을 담아 두었던 것으로 쌀 7가마분(4천명분) 의 밥을 담을 수 있다고 한다.
둘째, 능견난사 : 절의 음식을 담아 내는 일종의 그릇(사리)인 '능견 난사'는 크기와 형태가 일정한 수공예품으로 그 정교함이 돋보인다
셋째, 쌍향수 : 곱향나무로 불리는 송광사의 명물 쌍향수는 조계산 마루 천자암 뒤뜰에 있다. 두 그루 향나무가 같은 모습을 하 고 있어 쌍향수란 이름이 붙었는데, 나무 전체가 엿가락처럼 꼬였고 가지가 모두 땅을 향하고 있다. 보조국사 지눌과 당나 라 담당왕자가 송광사 천자암에 이르러 짚던 지팡이를 꽂았더 니 가지가 나고 잎이 피었다고 한다. 높이 12.5m, 수령 800년 으로 항상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천연기념물 88호로 비정된 쌍향수는 숫자만큼 비비꼬아 용트림하다 승천하는 용의 형상을 방불케 하고있다.
족히 천년은 넘어 보이는 곱향나무는 일반 향나무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와 같은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 드물게 자생하는 나무라고 한다.
천자암 주변에 자생한 것 같지 않으면서 천년에 가까운 세월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우리나라에 보호되고 있는 천연기념물(나무) 중 가장 기이하고 빼어나게 아름다운 자태를 뽑내는 신비롭고 경이스러운 나무이다.
송광사 천자암을 다녀온지가 벌써 두달이 지났지만 지금도 쌍향수를 처음 본 흥분과 경이로운 분위기가 아직 그대로 간직된 것처럼 온몸에 전율이 흐른다.
보는 순간 단번에 압도되는 우람한 남성미를 물씬 풍기는 카리스마와 보면 볼수록 아름답고 고운 무늬 그리고 88번를 휘감아 뒤틀린 신비함...
담당국사는
왕자의 신분으로 보조국사의 제자가 되었는데, 나무의 모습이 한 나무가 다른 나무에 절을 하고 있는 듯하여 예의바른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습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또한 한손으로 밀거나 여러 사람이 밀거나 한결같이 움직이며, 나무에 손을 대면 극락(極樂)에 갈 수 있다는 전설이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썅향수를 만지면 극락에 간다니(이것은 절대 오해고요)
송광사 천자암 썅향수를 천번을 보면(천번의 기도) 극락에 간답니다.
http://blog.daum.net/jun64314/6450642
송광사의 명물중의 하나인 비사리 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