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전천후 삼각비표 보는 법 (사진설명)

산신각 2009. 2. 6. 11:11

처음 활을 배울 때...

대부분 줌손의 손가락이나 엄지 뿌리끝으로

자기만의 표를 보는데 익숙해 있습니다

나중 손가락이 안 보인다고 하소연도 하시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쏘임이 변해가기 때문입니다

 

몰기 접장이 된 후에 촉으로 보는 법을 선택해서 쏘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이 경우는 반드시 뒷손이 턱 밑으로  내려가게 되있습니다

그래야 화살이 그 만큼 나갑니다

처음 죽에 묻었던 턱은 반대로 현쪽으로 다가 갑니다

표 보려고 턱을 돌리고 아예 볼을 현에 비벼 대는데.. 정말 안 이쁘지요

어떠한 운동이나 춤도..폼이 좋아야 하고 멋진 자세가 으뜸 입니다

활도 올바른 자세에서 올바른 쏘임이 나옵니다

 

 

엄지를 약간 쫘듯이 밀면 화살은 훨씬 멀리 갑니다
바람저항도 덜하고요..근데 손가락이 안보이니 점을 찍기도 합니다

그러나 삼각으로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삼각이란? 엄지 뿌리와 화살이 이루는 각도입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 하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처음엔 화살이 안보입니다만 얼마 안되어 화살이 바로 보입니다

삼각은 치우치지 않은 이등변 삼각형이 더 정확합니다


촉바람이 불어올 땐..삼각의 크기를 키우면 되고요.. 앞바람인경우

우측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사진에서는 삼각이 약간 기울었으나 카메라에 담기가 힘들어서

잘나온 것 몇 컷만 소개드리니 양해 바랍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홍심을 씌워서도 살을 낼 수 있답니다

그런데.신기하게  과녁 중앙으로 곧장 날아가 관중 됩니다

그 이유는 다음 시간에 올려 드리겠습니다..시간상 줄입니다

출처 : 국궁교실
글쓴이 : 竹農 이화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