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시장·정명근)가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에 진입함에 따라 100만 이상 대도시 신규 행정수요 및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15일자로 시행한다.
이번 조직개편의 중점방향은 ▲민선8기 시민과의 약속을 실천할 수 있는 기구 보강 ▲시민 중심 출장소 기능 재편을 통한 일선 행정기능을 강화 ▲ 인공지능 기반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는 것 등이다.
특히 이번 조직개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 상 인구 100만 이상 시의 행정기구와 직급 특례사항이 반영됐으며, 실·국 수 제한 폐지사항을 반영해 본청의 행정기구를 기존 1실 6국 1단에서 3실 9국으로 개편해 실·국장의 통솔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실·국장 중심 책임행정이 강화된다.
또한, 지역개발사업소, 환경사업소를 폐지해 본청으로 편재함으로써 정책기능과 집행기능을 일원화해 행정을 효율화하고, 한시기구인 교통사업단은 폐지하고 교통국으로 확대해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이 강화된다.
세부 개편사항으로는 민생경제산업국, 도시주택국이 각각 기업투자실, 도시정책실로 명칭변경되며, 의회사무국과 함께 기존 4급 기구에서 3·4급 기구로 개편된다.
이어, 4급 국 단위 개편사항으로 재정국, 농정해양국, 안전건설국, 주택국, 환경국 등 5국이 신설되고, 교통사업단과 지역개발사업소, 환경사업소 등 1단 2사업소가 폐지됐으며, 자치행정국은 시민 소통 강화를 위해 소통행정국으로 여가문화교육국, 시민복지국, 교통도로국은 각각 문화교육국, 복지국, 교통국으로 변경된다.
과 단위 기구를 살펴보면 ▲인공지능 기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AI전략과 ▲특례시 준비 및 일반구 추진 전담을 위해 특례시추진단 ▲100만명 인구에 걸맞은 문화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문화시설과 ▲보타닉가든 화성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한 보타닉가든추진단 등 6개과가 신설된다.
이에 따라 정원은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 행정기구 및 직급 특례 반영 및 신규 행정수요 대응을 위해 화성시 공무원 총수가 2859명에서 2921명으로 62명 증원됐으며, 집행기관의 정원은 2809명에서 2868명으로 의회의 정원은 50명에서 53명으로 조정됐다.
정명근 시장은 “이번 인력증원과 조직개편은 화성특례시 진입 예정에 따른 행정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특례시에 걸맞은 행정기구를 갖춰 화성특례시민에게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래를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ttp://www.hsnews.or.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211&no=43886
화성시, ‘100만명 이상 대도시’ 진입에 따른 대규모 조직개편 단행
화성시(시장·정명근)가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에 진입함에 따라 100만 이상 대도시 신규 행정수요 및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15일자로 시행한다.이번 조직개편의 중점방향은 ▲
www.hsnews.or.kr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시, 개인택시 신규면허자 17명에 면허증 수여 (0) | 2024.04.15 |
---|---|
화성시민사회단체, 향남로데오거리에서 세월호 10주기 ‘작은 기억식’ 열어 (1) | 2024.04.15 |
(재)화성푸드통합지원센터-농협식품-수원지구원예농협-마션테이블, 공공급식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 4자 업무협약 체결 (1) | 2024.04.12 |
화성시정조효노인복지관, 12일 개관식 개최 (0) | 2024.04.12 |
오산시, 개인택시 야간운행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