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김포 대명항, 안산 방아머리항, 화성 전곡항·제부항이 국가어항으로 신규지정됨에 따라 국가어항개발사업비 약 2390억원이 투입된다고 8일 밝혔다.
도 내 국가어항은 화성 궁평항 1개소가 유일하며, 16년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사례가 없었던 경기도는 어항의 종합적인 개발과 대규모 국비투자를 위해 국가어항을 민선8기 혁신공약으로 삼고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경기도는 김포시, 안산시, 화성시와 함께 지역 특성을 살린 맞춤형 국가어항 개발 전략을 마련하고 지난 7월 해양수산부 국가어항 신규 지정 공모에 신청했다.
해양수산부는 김포 대명항, 안산 방아머리항, 화성 전곡항·제부항 3개소 모두 선정됐다고 8일 발표했다.
국가어항 신규지정 공모 선정에 따라 김포시 대명항, 안산시 방아머리항, 화성시 전곡항·제부항에 순차적으로 국가어항개발사업비 약 2390억원이 투자된다.
주요 개발 방향은 ▶방파제 조성 등 어항기능 개선 및 시설확충 ▶서해 해상교통 중심 기능 ▶해양관광·문화 기능을 강화해 어촌경제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전곡・제부항은 국가어항 신규지정 예비대상항으로 선정됨에 따라 국비 지원을 받아 7년간 980억원을 투입해 ▲항로준설 ▲매립을 통한 어항배후부지 확보 ▲방파제 연장 및 부잔교 설치 등 어항 기본시설을 확충해 안정적인 정주기반을 마련하고 ▲해양레저교육장 ▲귀어귀촌 지원센터를 건립해 서해안 해양레저 거점지역으로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공정식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이번 대상 선정으로 수산업 기능 및 해양레저·관광 기능을 넘어 어촌 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어촌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앞으로 어촌소멸 위험의 위기감 속에 지역특성에 맞는 어항개발로 어촌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안산 탄도항을 비롯한 2개의 지방어항도 재생 및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안산 탄도항은 올해 연말 준공을 목표로 2014년부터 총 22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8만1000㎡ 부지를 매립했으며,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한 요트 육상계류시설, 해양레저R&D센터, 해양치유 등을 포함한 대규모 해양레저관광 인프라 조성을 구상하고 있다.
http://www.hsnews.or.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403&item=&no=45313
화성시 전곡항·제부항, 국가어항으로 신규 지정
경기도는 김포 대명항, 안산 방아머리항, 화성 전곡항·제부항이 국가어항으로 신규지정됨에 따라 국가어항개발사업비 약 2390억원이 투입된다고 8일 밝혔다. 도 내 국가어항은 화성 궁평항 1개
www.hsnews.or.kr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명근 화성시장, 한국지방자치학회 대외협력 부회장 위촉 (0) | 2024.08.11 |
---|---|
정명근 화성시장, 주요 5개 사회단체장들과 면담 실시 (0) | 2024.08.11 |
화성시서부노인복지관은 화성의과학대학교에 감사패 전달 (0) | 2024.08.08 |
(재)화성푸드통합지원센터-화성시사회복지협의회, ‘화성로컬푸드 더위극복 꾸러미’ 후원 (0) | 2024.08.08 |
화성소방서, 여름 휴가철 대비 다중이용시설 화재안전컨설팅 실시 (0) | 2024.08.08 |